본문 바로가기
공부한것/JS

[JS] pipeline operator

by flyda 2022. 12. 25.

javascript

인강을 듣다가 신기한 문법을 보게 되었다.

const a = pow(30, 2);
const b = pow(b, 30);
const c = pow(a, 30);

//or
pow(pow(pow(30, 2), 30), 30));

//or
30.pow(2).pow(30).pow(30);

이런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이 라고 한다. 

const result = 30 |> pow(^, 2) |> pow(^, 30) |> pow(^, 30);

여기에서 `|>`은 30을 ^로 불러오고, 그 계산된 값을 두 번째 ^로 불러오고, 마지막으로 계산된 값을 ^로 불러와서 계산한 뒤 결과를 result에 대입하는 문장이다. 

지금도 stage2인거 같기는 해서...? 어쨌든 아직은 사용하기 어려운 것 같지만 신기해서 적어본다. 

 

 

참고 :

TypeScript를 활용한 함수형 프로그래밍 온보딩

https://velog.io/@ksh-code/JS-pipe-operator

https://github.com/tc39/proposal-pipeline-operator

'공부한것 >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절차적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  (0) 2022.12.29

댓글